본문 바로가기

국세 카드납부 혜택들 다양한 카드사 혜택 소개

국세를 납부하는 과정에서 신용카드 를 활용하면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국세와 관련된 세금 종류부터 카드사별 혜택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세무청 공식 홈페이지

 

국세와 신용카드 납부

세금에는 국세, 관세, 지방세가 있으며, 이를 신용카드 를 통해 납부할 때 각각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세금 종류 및 분류

세금 종류

분류

국세

종합부동산세, 부가가치세, 종합소득세, 상속세, 증여세, 개별소비세, 인지세 등

관세

경찰청 과태료, 검찰청 과태료 및 법원인지대 포함

지방세

자동차세, 재산세, 취득세, 등록면허세, 지방소비세, 지방교육세 등

 

국세는 신용카드 로 납부 시 0.8%의 수수료가 발생하며, 체크카드로는 0.5%의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반면, 지방세는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카드사별 신용카드 세금 납부 혜택

세금을 납부할 때 각 카드사는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현대카드

  • 무이자 할부 및 수수료 면제 혜택 제공
  • M포인트 사용 가능

 

비씨카드

  • 최대 12개월까지 부분 무이자 할부 혜택 제공

 

NH농협카드

  • 개인 신용카드 로 5만 원 이상 할부 결제 시 무이자 할부 혜택 제공

 

하나카드

  • 하나 개인 신용카드 로 세금 납부 시 부분 무이자 할부 혜택 제공

 

우리 카드

  • 무이자 할부 및 부분 무이자 할부 혜택 제공

 

수협카드

  • 국세(관세), 4대 보험, 지방세 납부 시 무이자 할부 혜택 제공

 

광주카드

  • KJ 신용카드 로 세금 납부 시 무이자 할부 혜택 제공

 

전북은행카드

  • JB카드로 국세, 지방세 등 납부 시 무이자 할부 혜택 제공

 

카드 종류별 세금 납부 혜택

각 카드사는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일부 카드는 적립이나 할인 혜택을 주고, 무이자 할부 혜택도 있습니다.

세금 종류

할부 제공 기간

납부대행 수수료

대상 카드

국세 및 관세

2~3개월

신용카드 0.8%, 체크카드 0.5%

개인 신용카드, 4대 보험

 

국세 카드납부 방법

국세를 카드로 납부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1. 금융결제원의 카드로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후 로그인합니다.
  2. 인증서를 통해 국세 내역을 조회하고 신용카드 를 선택하여 할부 기간과 카드번호를 입력한 후 결제합니다.
  3. 국세 납부대행 수수료는 0.8%이며, 카드사별로 무이자 할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국세 카드납부 는 매일 00:30~23:30까지 가능하며, 국세뿐만 아니라 지방세와 관세도 가능합니다.

 

세금 종류별 납부기한

2023년에는 다양한 세금의 납부기한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자

종류

비 고

2023.1.27.(금)

부가가치세(1분기)

국세

1.31.(화)

자동차세(연납)

지방세

3.31.(금)

법인세

국세

4.25.(화)

부가가치세(2분기)

국세

5.31.(수)

종합소득세(상반기)

국세

6.30.(금)

자동차세(상반기)

지방세

7.25.(화)

부가가치세(3분기)

국세

7.31.(월)

재산세(1기)

지방세

8.31.(목)

주민세

지방세

10.2.(월)

재산세(2기)

지방세

10.25.(수)

부가가치세(4분기)

국세

11.30.(목)

종합소득세(하반기)

국세

12.15.(금)

종합부동산세

국세

2024.1.2.(화)

자동차세(하반기)

지방세

 

국세를 카드로 납부하면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각 카드사의 혜택을 잘 활용하여 경제적 이득을 챙기고, 납부기한을 잘 지켜 세무상 문제를 방지해야 합니다.

  • 국세와 관련된 세금 종류와 납부기한을 확인해야 합니다.
  • 각 카드사는 국세 카드납부 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 국세를 납부할 때 발생하는 수수료는 카드사별로 다르며, 무이자 할부 혜택도 제공됩니다.

 

 

세무청 공식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