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넷플릭스가 발표한 '넷플릭스 공유금지' 정책이 큰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많은 이용자들이 넷플릭스를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즐기기 위해 계정을 공유해왔지만, 이제는 추가 요금을 지불해야만 그 혜택을 계속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넷플릭스의 계정 공유 금지 정책의 변화와 그에 따른 해결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넷플릭스 계정 공유 금지 정책의 배경
넷플릭스는 과거 “Love is sharing a password”라는 슬로건 아래 비밀번호 공유를 권장해왔습니다. 하지만 계정을 공유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하면서, 이는 넷플릭스의 수익 감소로 이어졌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넷플릭스는 2023년 11월 2일부터 한국에서 '넷플릭스 공유금지' 정책을 시행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 정책은 다른 사람과의 계정 공유를 제한하고, 거주자가 아닌 사람과의 공유는 추가 요금을 지불해야 가능하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넷플릭스 계정 공유 금지에 따른 변화
넷플릭스의 새로운 정책에 따라, 기존의 요금제는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습니다.
요금제 및 공유 인원
맴버십 |
월 요금 |
공유 인원 |
추가 요금 |
광고형 베이식 |
5,500원 |
공유 불가 |
없음 |
베이식 |
9,500원 |
공유 불가 |
없음 |
스탠다드 |
13,500원 |
1명 |
5,000원 |
프리미엄 |
17,000원 |
2명 |
10,000원 (인당 5,000원) |
스탠다드 요금제의 경우 1명, 프리미엄 요금제는 최대 2명까지 추가 가능하며, 각각 인원당 5,000원의 추가 요금이 발생합니다. 또한, 모바일 및 PC에서는 여전히 공유가 가능하지만, TV 등록은 1대만 가능하다는 점도 유의해야 합니다.
넷플릭스 계정 공유 해결 방법
넷플릭스 공유금지 정책에 따라 계정을 공유하고자 한다면, 유료 방법과 무과금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유료 방법:
- 추가 회원 자리 구매: 스탠다드 및 프리미엄 요금제를 이용하는 경우, 매월 5,000원을 추가로 지불하여 추가 회원 자리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 새로운 계정 생성: 기존 프로필 정보를 이전할 수 있는 새로운 계정을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무과금 방법:
- IP 주소를 기반으로 한 가족 인식 우회: 계정 주인의 집 와이파이에 직접 연결하여 인증을 받는 방법입니다. 이 경우, 매달 한 번은 계정 주인의 집에 가서 인증을 갱신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단계별 절차
- 넷플릭스 계정 주인의 집 TV에서 넷플릭스를 실행합니다.
- 이용 가구에 포함된 디바이스로 등록합니다.
- 본인의 휴대폰을 계정 주인의 집 와이파이에 연결하여 넷플릭스를 실행합니다.
- 본인 집으로 돌아가서 집 와이파이에 연결 후 넷플릭스를 실행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넷플릭스는 계정 주인의 집과 본인의 IP가 동일하다고 인식하게 되어 한 가구로 인정됩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무료인 대신 인증 갱신을 위해 반복적으로 계정 주인의 집을 방문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넷플릭스 공유금지 정책은 많은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선택지를 강요하는 변화입니다. 과거에는 친구나 가족과의 계정 공유가 일반적이었지만, 이제는 비용이 수반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가 개인 사용자에게는 다소 불편할 수 있으나, 넷플릭스가 더 나은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는 더 많은 OTT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선택의 폭이 넓어질 것으로 기대되니, 다양한 옵션을 고려해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넷플릭스의 새로운 정책에 대해 자세한 내용은 넷플릭스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