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근세 계산기 안내
반갑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갑근세 계산기를 사용해보는 방버에 대해서 설명해 보도록 할겁니다. 갑종근로소득이라 하는데요. 쉽게 말해서 소득세라 할수 있습니다. 우리의 급여에서 미리 빠져나가는 부분이죠.
이제 2016년도 얼마 남지 않았죠. 이제는곧 2017년이 되어지면서 한번 다시 연봉협상을 하게 되어 지실 거예요. 연봉협상을 하게되면 알다 싶이 연봉이 오른만큼 각종 사회보험과 세금이 같이 올라가게 되어 지는데요. 자기 자신의 급여에 따라서 결정이 되어지게 되는데요.
오늘은 미리 시뮬레이션 하실 수가 있도록 해주는 계산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할겁니다. 국세청 홈텍스 홈페이지를 사용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홈페이지로 바로가시려면 포스팅 밑에쪽에 있답니다.
포스팅 밑에에 가보신다면 바로가기 링크가 있을 텐데요. 클릭을 하시고 나서 조회/발급 메뉴로 들어가셔야 갑근세 계산기로 들어갈수있는 또다른 메뉴가 보이시게 되어지실거에요. 천천히 따라해주면 되실것같네요.
이러한 식으로 페이지로 바로 이동을 하시게 되어 질 겁니다.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를 하려할겁니다. 굳이 계산기 이용에는 프로그램 인스톨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아니오를 선택을 해 주시고 진행해주셔도 상관없습니다. 또한 기타조회 부분에서 '근로소득간이세액표'를 누르시면 된답니다.
그리고 난다면 이러한 방법으로 갑근세 계산기가 나오도록 되어지실거에요. 이부분에 보시면 월급여액을 입력을 할수 있고, 전부공제대상 가족수를 입력을 할수있는데요. 그리고 자녀수도 입력이 가능한데요. 이러한 방법으로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공제가 되어진답니다.
결과를 확인해보도록 할까요. 부야가족이 없다라고 한다면 100%로 하게되었을 경우에 소득세 19000원, 그리고 지방소득세 1950원이 나와 총 21000원 가량이 부과가 되어진다고 나오고있네요.
궁금해 하시는분들 많이 계실거에요. 이러한 식으로 미리 계산기를 통해 쉽게 할수가있기에 한번 테스트 해 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