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로기준법 휴가 규정 1분정리

근로기준법 휴가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로기준법 은 근로자와 사용자의 근로조건을 보호하고 근로자의 권익을 증진하기 위한 법으로, 근로시간, 임금, 휴게, 휴가, 해고, 부당노동행위 등을 규정합니다. 특히 휴가 규정은 근로자들에게 유급휴가를 제공하여 휴식과 재충전의 기회를 주는 중요한 내용입니다.

 

직원들 연차유급휴가 일수는 이렇게 계산합니다

 

연차 휴가 규정

연차 휴가란?

근로기준법 에 따라 제공되는 유급 휴가로, 5명 이상의 상시근로자가 있는 사업장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의무적으로 부여됩니다.

 

규정 내용

근무 기간

휴가 일수

1년 이상 (80% 이상 출근)

15일

1년 미만 또는 80% 미만 출근

1개월 개근 시 1일

3년 이상 근무

15일의 기본 휴가에 2년마다 1일씩 추가 (최대 25일까지)

 

여름 휴가

여름 휴가란?

근로기준법 에서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으며, 회사의 재량에 따라 제공되는 복리후생 차원의 휴가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Q&A)

  1. 여름 휴가 사용 시기는 특정하지 않으며, 개인의 연차를 사용하여 계획할 수 있습니다.
  2. 연차 사용 시기는 근로자가 결정할 수 있으며, 업무에 지장이 생기는 경우 회사가 변경할 수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60조 규정

근로자가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경우, 사용자는 15일의 유급휴가를 제공해야 합니다. 근로자가 3년 이상 근무한 경우, 매 2년마다 1일씩 가산된 유급휴가를 제공해야 하며, 총 휴가 일수는 25일을 한도로 합니다.

근로기준법 의 휴가 규정은 근로자와 회사 모두에게 중요한데, 이를 잘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정확한 휴가 정보 파악과 휴가 관리 체계의 확립이 중요합니다.

휴가 유형

최소 근무 기간

휴가 일수

연차 휴가

1년 이상 (80% 이상 출근)

15일

1년 미만 또는 80% 미만 출근

1개월 개근 시 1일

3년 이상 근무

15일의 기본 휴가에 2년마다 1일씩 추가 (최대 25일까지)

여름 휴가

근로기준법에 따른 휴가 없음

회사의 재량에 따름

 

 

직원들 연차유급휴가 일수는 이렇게 계산합니다